[ 관리자 설정 ]
그룹웨어 > 근태관리 > 근무조회
근무조회
업데이트 날짜: 2023년 03월 02일
이 페이지는 AIWORKS의 관리자메뉴 중 근태관리의 ‘근무조회’에 대한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.
빠른 확인을 원하시면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해주세요.
빠른 확인을 원하시면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해주세요.
1. 사용자별 근무일정
‘사용자별 근무일정’에서는 일자에 따른 사용자별 근무 형태를 조회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.
① 기간을 설정해 사용자별 근무형태를 조회합니다. 기본값은 ‘현재 달’입니다.
② 사용자/조직명으로 검색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.
③ 다운로드 (
) 버튼을 통해 조회 내역을 엑셀 형태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④ 사용자에게 새로운 근무일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[1단계] 오른쪽 상단의 ‘근무일정추가’버튼을 클릭합니다.
[2단계] – 1 기간선택형 방식입니다.
[2단계] – 2 날짜선택형 방식입니다.
[3단계] 설정을 마친 후 ‘저장’을 눌러주세요. 다음과 같이 사용자에게 근무일정이 추가되었습니다.
[2단계] ①변경하려는 근무형태를 선택하고 ②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.
[3단계] 사용자의 근무일정이 변경되었습니다.
삭제하려는 날짜에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근무일정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.
첫번째 방법 – [1단계] 목록에서 삭제하려는 날짜의 사용자 이름을 클릭해주세요.
첫번째 방법 -[2단계] 나타나는 화면에서 ‘삭제’버튼을 클릭해주세요.
두번째 방법 – [1단계] 목록에서 ① 삭제하려는 근무일정의 체크박스를 체크한 후 ②삭제 버튼을 클릭해주세요.
① 기간을 설정해 사용자별 근무형태를 조회합니다. 기본값은 ‘현재 달’입니다.
② 사용자/조직명으로 검색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.
③ 다운로드 (

④ 사용자에게 새로운 근무일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– 사용자 근무일정 추가
‘근무형태설정‘에서 등록한 근무형태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근무일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[1단계] 오른쪽 상단의 ‘근무일정추가’버튼을 클릭합니다.

① 대상자를 선택합니다. 대상자는 조직 또는 다수의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② 화면의 기본값은 ‘기간선택형’으로 되어있습니다.
③ 근무일정 적용 기간을 선택해주세요. 기본값은 ‘당일’이며 최대 2년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.
④ ‘근무형태설정’에서 생성한 근무형태를 요일별로 설정해주세요. 일하지 않는 요일에는 ‘근무없음’을 선택해주세요.
‘근무정보설정’에서 설정한 ‘주휴요일’에 근무할 경우 ‘휴일근무’로 산정됩니다.
⑤ ‘휴일 포함해서 일정 추가’를 on으로 설정할 경우 해당 요일이 공휴일 및 전사휴일인 경우에도 근무 일정이 추가됩니다.
② 화면의 기본값은 ‘기간선택형’으로 되어있습니다.
③ 근무일정 적용 기간을 선택해주세요. 기본값은 ‘당일’이며 최대 2년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.
④ ‘근무형태설정’에서 생성한 근무형태를 요일별로 설정해주세요. 일하지 않는 요일에는 ‘근무없음’을 선택해주세요.
‘근무정보설정’에서 설정한 ‘주휴요일’에 근무할 경우 ‘휴일근무’로 산정됩니다.
⑤ ‘휴일 포함해서 일정 추가’를 on으로 설정할 경우 해당 요일이 공휴일 및 전사휴일인 경우에도 근무 일정이 추가됩니다.

① 대상자를 선택합니다. 대상자는 조직 또는 다수의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② 선택상자를 클릭해 오른쪽 화면과 같이 ‘날짜선택형’으로 변경해주세요.
③ 적용하고 싶은 근무형태를 선택해주세요. 리스트는 ‘근무형태설정’에서 생성해둔 근무형태이며, 최대 10개의 근무형태를 한 번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④ 일정이 등록되지 않아 선택할 수 있는 날짜칸은 하얀색으로 표시됩니다.
⑤ 이미 일정이 등록되어 있어 선택할 수 없는 날짜칸은 회색으로 표시됩니다.
② 선택상자를 클릭해 오른쪽 화면과 같이 ‘날짜선택형’으로 변경해주세요.
③ 적용하고 싶은 근무형태를 선택해주세요. 리스트는 ‘근무형태설정’에서 생성해둔 근무형태이며, 최대 10개의 근무형태를 한 번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④ 일정이 등록되지 않아 선택할 수 있는 날짜칸은 하얀색으로 표시됩니다.
⑤ 이미 일정이 등록되어 있어 선택할 수 없는 날짜칸은 회색으로 표시됩니다.

① 두 명의 사용자를 선택한 상태입니다.
② 화살표를 클릭해 달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.
③ 일정을 추가하려는 날짜를 선택합니다.
④ 근무형태를 두 가지 선택한 상태입니다.
⑤ 요일명을 클릭해 해당 요일 전체를 한 번에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.
② 화살표를 클릭해 달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.
③ 일정을 추가하려는 날짜를 선택합니다.
④ 근무형태를 두 가지 선택한 상태입니다.
⑤ 요일명을 클릭해 해당 요일 전체를 한 번에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.


– 사용자 근무일정 수정
[1단계] 목록에서 수정하려는 날짜의 사용자 이름을 클릭해주세요.


– 사용자 근무일정 삭제
사용자의 근무일정을 삭제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.첫번째 방법 – [1단계] 목록에서 삭제하려는 날짜의 사용자 이름을 클릭해주세요.



2. 근무내역조회
월별로 사용자의 근무 내역을 조회하는 화면입니다. 근무시간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내역은 달력형과 목록형 두 가지 형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② 부서 또는 사용자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③ 달력형과 목록형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입니다.
④ 엑셀 형테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
① 근무시간 옆 화살표를 클릭하면 근무 상세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상세내역의 항목은 ‘근태관리 옵션설정‘의 설정에 따릅니다.
② ‘출근시간 ~ 퇴근시간’이 표기됩니다. 상세내역 맨 아래는 하루의 총근무시간이 표기됩니다.
출장/휴가 등의 전일 일정의 경우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이 없이 총근무시간만 표기됩니다.
① 조회하려는 기간을 설정합니다.
② 근무시간 통계를 확인합니다.
③ 두 개 이상의 근무일정이 있는 경우 각각의 근무일정이 표기됩니다.
시차출퇴근의 경우 근무일정은 출근가능시작시간 ~ 퇴근가능종료시간 으로 표기됩니다.
– 달력형 보기
① 조회하려는 연도와 월을 설정합니다.② 부서 또는 사용자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③ 달력형과 목록형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입니다.
④ 엑셀 형테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

② ‘출근시간 ~ 퇴근시간’이 표기됩니다. 상세내역 맨 아래는 하루의 총근무시간이 표기됩니다.

– 목록형 보기
오른쪽 상단의 스위치를 클릭해 목록형으로 조회힐 수 있습니다.① 조회하려는 기간을 설정합니다.
② 근무시간 통계를 확인합니다.
③ 두 개 이상의 근무일정이 있는 경우 각각의 근무일정이 표기됩니다.

3. 일간 출퇴근 현황
전체 사용자의 출퇴근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해당 날짜에 근무 예정 또는 근무 기록이 있는 사용자 리스트가 보입니다.
① 각 아이콘은 필터 버튼으로 동작합니다. 예를들어 ‘지각’을 클릭하는 경우 지각한 근무자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.
② 출근을 등록하지 않은 사용자의 상태는 빈 박스로 표시됩니다.
③ 출근을 등록한 사용자의 상태는 채워진 박스로 표시되며, ‘보라색’ 박스의 경우 마우스를 올리면 상세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② 출근을 등록하지 않은 사용자의 상태는 빈 박스로 표시됩니다.
③ 출근을 등록한 사용자의 상태는 채워진 박스로 표시되며, ‘보라색’ 박스의 경우 마우스를 올리면 상세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– 사용자 근무기록 등록
화면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‘등록’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의 근무내역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사용자 및 날짜를 선택하고 시각을 입력하면 해당 날짜의 일간 출퇴근 내역이 추가됩니다. 등록한 내역은 ‘근무변경 이력조회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– 사용자 근무기록 수정
사용자의 실제출근시각 또는 실제퇴근시각을 클릭하면 해당 날짜의 사용자 근무 기록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 수정을 마치신 후에는 ‘저장’을 눌러주세요. 수정한 내역은 ‘근무변경 이력조회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근무변경 이력조회
근태관리 옵션에서 요청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근무변경 또는 외근, 출장 등에 대해 요청을
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요청/승인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관리자가 ‘일간 출퇴근 현황’이나 ‘사용자별 근무일정’ 등의 메뉴에서 근무 관련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의 이력도 여기에서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① 조회하려는 기간을 설정합니다. 기준은 ‘요청일’ 입니다.
② 관리자가 변경한 경우 구분값이 ‘변경’ 입니다.
③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변경인 경우 구분값이 ‘요청’ 입니다.
④ 엑셀 형테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
설명란을 클릭하면 해당 요청건의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팝업 창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.
변경이력 확인창은 다음과 같습니다.
설명란을 클릭하면 해당 요청건의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팝업 창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.
요청이력 확인창은 다음과 같습니다.
관리자가 ‘일간 출퇴근 현황’이나 ‘사용자별 근무일정’ 등의 메뉴에서 근무 관련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의 이력도 여기에서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① 조회하려는 기간을 설정합니다. 기준은 ‘요청일’ 입니다.
② 관리자가 변경한 경우 구분값이 ‘변경’ 입니다.
③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변경인 경우 구분값이 ‘요청’ 입니다.
④ 엑셀 형테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



5. 근무리포트
선택한 조회기간 내 근무와 관련한 상세 데이터 리포트입니다.
사용자와 부서는 고정되어 있으며, 가로로 스크롤바를 옮기면 모든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근태관리옵션에서 ‘근무시간 표기 표준화’ 옵션을 on으로 설정하는 경우,
①에 해당하는 필터가 숨겨지며, 리포트 상에도 표기되지 않습니다.

근무일수 | 예정 근무가 있는 날의 합입니다. |
소정근로시간 | ‘근무정보’에서 등록된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. |
승인된 근무시간 | 실제로 근무한 시간 중 예정근무시간으로 등록된 시간과 일치하는 시간입니다. |
실제 근무시간 | 출근을 등록한 시간부터 퇴근을 등록한 시간까지의 총합입니다. |
휴게시간 | 예정근무가 등록될 때 등록된 휴게시간의 합입니다. |
승인된 야간근무시간 | 승인된 근무시간 중 야간근무시간(오후 10시 ~ 오전 6시) 사이에 근무한 시간입니다. |
실제 야간근무시간 | 실제 근무시간 중 야간근무시간(오후 10시 ~ 오전 6시) 사이에 실제로 근무한 시간입니다. |
승인된 휴일근무시간 | 승인된 근무시간 중 ‘근무정보’에서 주휴요일로 등록된 날 또는 회사 지정 휴일, 공휴일에 근무한 시간입니다. |
실제 휴일근무시간 | 실제 근무시간 중 ‘근무정보’에서 주휴요일로 등록된 날 또는 회사 지정 휴일, 공휴일에 근무한 일수입니다. |
승인된 휴일야간근무시간 | 승인된 근무시간 중 ‘근무정보’에서 주휴요일로 등록된 날 또는 회사 지정 휴일이나 공휴일 중 야간근무시간(오후 10시 ~ 오전 6시)에 근무한 시간입니다. |
실제 휴일야간근무시간 | 실제 근무시간 중 ‘근무정보’에서 주휴요일로 등록된 날 또는 회사 지정 휴일이나 공휴일 중 야간근무시간(오후 10시 ~ 오전 6시)에 근무한 일수입니다. |
연장근무시간 | 단위기간동안 근무한 시간 중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한 근무시간입니다. ‘근무정보’에서 설정한 연장근무 최소기준 이상 최대기준 이하의 시간만 인정됩니다. |
재택일수 | 재택근무 요청이 승인된 날짜의 합입니다. |
출장일수 | 출장 요청이 승인된 날짜의 합입니다. |
외근횟수 | 승인된 외근 요청 건수의 합입니다. |
휴가일수 | 승인된 휴가 시간의 합입니다. 소수점 단위로 표기됩니다. |
지각일수 | 출근예정시간보다 늦게 출근을 등록한 날짜의 합입니다. |
미등록일수 | 근무가 예정되어있으나 출근을 등록하지 않은 날짜의 합입니다. |
AIWORKS는 언제나 열려있습니다
서비스 이용에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.
AIWORKS는 고객님의 문의사항을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